Skip to content

Seowon Jung, a haole kama`aina – Hawai`i

Live in Honolulu HawaiiPage of 22.
  • 블로그 주인장 소개
  • 댓글 다는 곳이 안보인다면
  • 하와이 관련 추천글
  • 게임 및 넷플릭스 관련 글
Noimg
October 24, 2011

외장하드를 붙여서 쓰고싶을 때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USB 외장하드를 원하는 경로에 붙이는 경우 zpool create -m /원하는경로 pool이름 DEVICE_NAME 예) zpool create -m /Data exhdd c3t0d0 이후 zfs에서 스냅샷을 찍을려면 파일시스템을 생성해줘야한다. zfs create exhdd zfs set mountpoint=/Data exhdd 이하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역시 스냅샷을 찍기 위한 파일시스템을 만들 경우 zfs create exhdd/Movie zfs set mountpoint=/Data/Movie exhdd/Movie 뗏다붙였다 하고싶을 땐 분리: zpool export exhdd 연결: zpool import exhdd 참고: 분리시킨다고 zpool destroy 쳤다간 모든 자료가 싸그리 날아간다.

Noimg
October 24, 2011

오픈인디아나에서 ZFS 루트 미러링하는 법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현재 사용 중인 하드: c1d0 추가 예정 중인 하드: c1d1 su – root format Searching for disks… AVAILABLE DISK SELECTIONS: 0. c1d0 /pci@0,0/pci104d,9045@1f,2/disk@0,0 1. c1d1 /pci@0,0/pci104d,9045@1d,7/storage@2/disk@0,0 Specify disk (enter its number): 1번을 눌러 새로 추가한 하드 선택 format> fdisk 3번을 눌러 기존의 파티션을 삭제한 뒤, 1번을 눌러서 파티션을 생성해준다. 1번 Solaris를 고르고 사이즈에서 100을 누르면 100%가 된다. 그리고는 6번을 눌러 빠져나온다. format> partition partition> modify 1번 All Free Hog 선택, yes, 0, 엔터x6번, yes, 이름 알아서, y partition> quit format> verify format> quit zpool attach pool c1d0s0 c1d1s0 여기서 re-silvering이라는 […]

Noimg
October 24, 2011

권한 및 사용자 관리 관련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오픈인디아나에서 기존 오픈솔라리스의 pfexec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. 따라서, sudo를 쓰거나 혹은 pfexec를 쓰기위한 관리자를 추가해준다. pfexec 사용하고 싶을 때: usermod -P “Primary Administrator” username su – root 했는데 Password: Roles can only be assumed by authorized users su: Sorry 라고 나오면서 전환이 안될시: sudo -i 를 입력해서 root 권한을 획득한 뒤, vi /etc/user_attr 해서 본인의 계정이 적힌 곳을 확인한다. 아래와 같이 되어있을 것이다. username::::type=normal;profiles=Primary Administrator 아래처럼 해준다. username::::type=normal;profiles=Primary Administrator;roles=root 사용자 추가명령어 useradd -d /export/home/jswlinux -c “Brian Jung” -g staff -m -u 101 -s /bin/bash jswlinux 리눅스의 sudo와 비슷한 사용자 루트권한 […]

Noimg
October 24, 2011

시스템 보기 관련 명령어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vmstat : 메모리 확인 psrinfo -v : CPU 상태확인 fmdump: 장애발생시 정보기록툴 svcadm disable gdm : X-Windows 끄고 텍스트모드로만 사용 shutdown -y -i5 -g0 : 셧다운, -y는 yes, -i5는 런레벨5(셧다운, 6은 리부팅), -g0 셧다운 시간(초) touch response;pkgadd -d . -r ./response -a ./default YUKONXsolx : Marvell Yukon 랜카드 사용시 드라이버 설치법 sudo scanpci -v : PCI 장치 스캔 cat /etc/release : 릴리즈 정보 isainfo -kv : 커널 확인 /usr/sbin/prtconf | grep Mem : 메모리 용량확인 /usr/bin/prstat -Z : 현재 명령어별 메모리 사용량 확인 /etc/security/exec_attr : Roles 리스트

Noimg
October 24, 2011

Zone 세팅법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Zone 설정은 반드시 root권한을 갖고 해야한다. 따라서 아래의 두 명령어 중 하나를 고른다. pfexec bash 혹은 su – root zoneadm list -cv (ID값 0을 가진 global이라는 존은 솔라리스 설치시 생성되어있는 기본 존이다) zone_web이라는 이름의 존 생성. 보안을 위해 퍼미션은 700. 위치는 어디든 상관없다. 여기서는 /export/zone_web으로 한다. mkdir -m 700 /export/zone_web ifconfig -a 해서 자신의 랜카드 이름을 메모해둔다. 잘 모른다면 lo0과 다른 이외의 것이 하나 나올텐데 그것이 분명하다. zone_web 설정파일 생성 zonecfg -z zone_web zonecfg:zone_web> create zonecfg:zone_web> set zonepath=/export/zone_web zonecfg:zone_web> set autoboot=true zonecfg:zone_web> add net IP는 반드시 같은 서브넷에 있어야한다. 예를 […]

Noimg
October 24, 2011

오픈인디아나/오픈솔라리스에서 APM 설치하기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오픈솔라리스 혹은 오픈인디아나 148 GNOME 데스크탑 메뉴에서 Package Manager -> Internet -> webstack-ui 설치 -> Applications -> Developer Tools -> Web Stack Initialize 클릭하거나, 혹은 초기화 명령어 /usr/share/webstack/libexec/initialize.sh 를 실행한다. 초기화는 한 번만 해주면 된다. APM Start: /usr/share/webstack/libexec/start.sh APM Stop: /usr/share/webstack/libexec/stop.sh 그놈메뉴 -> 프로그램 -> 개발자 도구 -> Webstack Admin -> Start Apache2/MySQL Servers mysql -u root SET PASSWORD FOR ‘root’@’localhost’ = PASSWORD(‘비밀번호’); flush privileges; exit 오픈인디아나 151a 오픈인디아나 151a부터는 오픈솔라리스의 저장소를 이용할 수 없다. 따라서 webstack-ui라는 패키지 자체가 없는데, 두 가지의 패키지만 설치하면 모두 해결이 가능하다. pfexec pkg install […]

Noimg
October 23, 2011

오픈인디아나에서 AFP / netatalk 운영하기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마침내 염원하던 “솔라리스에서 맥 타임머신 사용하기”가 이루어졌다. 본 노하우를 여기에 공개한다. 본인이 설치부터 작동까지 모두 직접 실행했으며,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. 작업은 항상 root에서 해야한다. 따라서 pfexec bash 혹은 su – root 를 사용하여 루트 권한을 획득한다. 작업에 필요한 필수 패키지를 설치한다. GCC를 설치한다. 오픈인디아나 위키에 보면 GCC 4.3을 요구하는데 그러지 않아도 된다. pkg install gcc-dev 그외 컴파일하는데 필수적인 툴들을 설치한다. pkg install SUNWgcc SUNWgmake SUNWxorg-headers SUNWGtk SUNWsfwhea pkg install pkg:/developer/gnome/gettext echo y | pkgadd -d http://mirror.opencsw.org/opencsw/pkgutil-i386.pkg all echo auto | /opt/csw/bin/pkgutil -i CSWlibgcrypt-dev 이제 afp 동작에 절대적으로 있어야하는 버클리DB를 설치해야한다. […]

Noimg
October 22, 2011

ZFS GUI Tool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재밌는 툴이 하나 있어서 소개한다. 솔라리스(이하 오픈인디아나)의 ZFS을 GUI로 설정할 수 있는 툴인데, 사실 나온지는 1년 좀 넘었다. 지금은 상용 솔라리스에만 포함된 ZFS Administrator와는 기능상에서 많이 떨어지지만 이러한 툴을 찾고자하는 분들을 위해서 소개해본다. Napp it 이라고 하는 툴인데, http://www.napp-it.org/ 에서 제작하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다. 영어가 불편하신 분들을 위해 설치방법을 소개한다. 먼저 root로 변경한다. $ su – root Napp-it을 설치한다. 아래의 명령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설치해준다. 무척이나 편리하다. wget -O – www.napp-it.org/nappit | perl shutdown -y -i6 -g0 이후 웹브라우저를 열고 오픈인디아나 서버의 주소를 넣고 포트번호 81번으로 접근을 하면 Napp-it 자체 미니웹서버가 시작페이지를 […]

Noimg
October 20, 2011

오픈솔라리스에서 오픈인디아나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

Computer / 컴퓨터ㄴ Solaris / 솔라리스0

먼저 자신의 오픈솔라리스 버전이 뭔지 알아야한다. uname -a를 실행해서 snv 111인지 snv 134인지 확인한다. 만약 111이라면, 134로 업그레이드를 하고나서 오픈인디아나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. 따라서, 두 번의 업그레이드를 해야한다는 얘긴데, 첫 번째 업그레이드는 하나마나일 정도로 아주 쉽다. Step 1 먼저 111에서 134로 업그레이드를 시작한다. pfexec pkg install SUNWipkg SUNWipkg-um SUNWipkg-gui pfexec pkg set-publisher -O http://pkg.openindiana.org/legacy opensolaris.org pfexec pkg image-update -v Step 2 이제 진짜 오픈솔라리스에서 오픈인디아나로 업그레이드를 시작할 차례다. pfexec pkg set-publisher –non-sticky opensolaris.org pfexec pkg set-publisher -P -O http://pkg.openindiana.org/dev openindiana.org pfexec pkg image-update -v –be-name openindiana 이제 새로운 환경으로 재부팅하면 된다. […]

Noimg
October 19, 2011

Java UDP Pinger Lab

Computer / 컴퓨터ㄴ Programming / 프로그래밍0

자바로 만든 UDP Ping 프로그램이다. 서버를 실행할 때 포트번호를 임의로 적어주면 된다. 예) javac PingServer.java && java PingServer localhost 1024 클라이언트의 실행법은 서버의 IP와 포트번호를 적으면 된다. 예) javac PingClient.java && java PingClient localhost 1024 서버의 코드는 Computer Networking, Kurose and Ross, 5th edition에서 작성된 그대로다. Programming Assignment 3: UDP Pinger Lab In this lab, you will study a simple Internet ping server written in the Java language, and implement a corresponding client.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se programs are similar to the standard ping programs available in modern operating […]

Posts pagination

Previous 1 … 21 22 23 … 29 Next

Recent Posts

  • Severance / 세브란스: 단절
  • Foundation (파운데이션)
  • 스파이더맨 2
  • 지금까지 본 넷플릭스/디즈니+ 영상 리뷰
  • 데스 스트랜딩 2
  • 하와이 생활 잡담 – 19 자동차 수리
  • 로보캅: 로그 시티
  • 이브온라인 일기 – 7
  • 이브온라인 일기 – 6
  • 이브온라인 일기 – 5

Categories

  • College Essays / 대학 에세이 (24)
  • Computer / 컴퓨터 (126)
    • ㄴ ARM / 라즈베리파이 등 (3)
    • ㄴ Bacula / 백업 (8)
    • ㄴ Ceph / 스토리지 (8)
    • ㄴ Etc / 그외 (4)
    • ㄴ Linux / 리눅스 (39)
    • ㄴ Macintosh / 맥킨토시 (29)
    • ㄴ Programming / 프로그래밍 (8)
    • ㄴ Solaris / 솔라리스 (26)
  • Games / 게임 (34)
    • ㄴ Playstation (3)
    • ㄴ XBOX / Steam (1)
    • ㄴ 이브온라인 (22)
      • ㄴㄴ IT 이야기 시리즈 (7)
  • Hawaii / 하와이 (74)
    • ㄴ 실체 시리즈 (11)
    • ㄴ 잡다한 이야기 (62)
  • Music / 음악 (6)
  • Over-The-Top / OTT (3)
    • Apple TV+ / 애플TV+ (2)
    • Netflix / 넷플릭스 (1)
  • Uncategorized / 그외 (19)
  • 건강 / Health (4)

Recent Comments

  • Seowon Jung on 하와이 생활 잡담 – 19 자동차 수리
  • Jay on 하와이 생활 잡담 – 19 자동차 수리
  • Seowon Jung on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만들기
  • Seowon Jung on 지금까지 해본 게임 리뷰 – 엑스박스원 & PC
  • sosoribaram on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 만들기

Archives

  • September 2025 (1)
  • August 2025 (2)
  • July 2025 (2)
  • June 2025 (1)
  • May 2025 (1)
  • March 2025 (3)
  • February 2025 (2)
  • December 2024 (1)
  • November 2024 (1)
  • September 2024 (1)
  • July 2024 (2)
  • June 2024 (1)
  • May 2024 (2)
  • April 2024 (2)
  • January 2024 (1)
  • December 2023 (1)
  • October 2023 (1)
  • May 2023 (1)
  • January 2023 (1)
  • November 2022 (1)
  • July 2022 (1)
  • May 2022 (4)
  • November 2021 (2)
  • October 2021 (1)
  • September 2021 (3)
  • August 2021 (1)
  • April 2021 (2)
  • January 2021 (4)
  • December 2020 (4)
  • October 2020 (1)
  • August 2020 (1)
  • May 2020 (1)
  • February 2020 (1)
  • January 2020 (1)
  • December 2019 (2)
  • November 2019 (1)
  • August 2019 (3)
  • May 2019 (3)
  • March 2019 (1)
  • February 2019 (3)
  • January 2019 (1)
  • December 2018 (2)
  • November 2018 (1)
  • August 2018 (1)
  • June 2018 (2)
  • May 2018 (8)
  • April 2018 (2)
  • March 2018 (1)
  • January 2018 (1)
  • November 2017 (1)
  • October 2017 (1)
  • September 2017 (1)
  • August 2017 (2)
  • July 2017 (1)
  • May 2017 (1)
  • April 2017 (1)
  • March 2017 (1)
  • February 2017 (2)
  • January 2017 (8)
  • October 2016 (1)
  • July 2016 (2)
  • May 2016 (3)
  • March 2016 (1)
  • February 2016 (1)
  • January 2016 (1)
  • December 2015 (1)
  • November 2015 (3)
  • October 2015 (4)
  • August 2015 (2)
  • May 2015 (2)
  • April 2015 (1)
  • December 2014 (1)
  • November 2014 (4)
  • October 2014 (3)
  • September 2014 (2)
  • July 2014 (1)
  • June 2014 (1)
  • May 2014 (3)
  • March 2014 (1)
  • February 2014 (1)
  • January 2014 (2)
  • December 2013 (3)
  • November 2013 (2)
  • October 2013 (6)
  • September 2013 (4)
  • August 2013 (1)
  • June 2013 (1)
  • May 2013 (11)
  • April 2013 (1)
  • March 2013 (1)
  • January 2013 (2)
  • August 2012 (3)
  • July 2012 (1)
  • June 2012 (2)
  • May 2012 (1)
  • March 2012 (4)
  • February 2012 (4)
  • January 2012 (1)
  • December 2011 (2)
  • November 2011 (1)
  • October 2011 (23)
  • September 2011 (1)
  • July 2011 (1)
  • June 2011 (2)
  • April 2011 (1)
  • January 2011 (2)
  • December 2010 (1)
  • November 2010 (1)
  • October 2010 (1)
  • July 2010 (2)
  • June 2010 (6)
  • May 2010 (1)
  • February 2010 (2)
  • January 2010 (2)
  • December 2009 (6)
  • November 2009 (3)
  • October 2009 (1)
  • April 2009 (2)
  • November 2008 (2)
  • October 2008 (2)
  • September 2008 (1)
  • August 2008 (3)
  • July 2008 (1)
  • June 2008 (1)
  • May 2008 (9)
  • March 2008 (1)
  • February 2008 (8)
  • November 2007 (2)
  • September 2007 (2)
Copyright © 2025 Seowon Jung, a haole kama`aina – Hawai`i All Rights Reserved.
Powered by WordPress. Designed by Yossy's web service.